===01.13=====================================================================
오픈 플랫폼
** 1주차 **
1. 아두이노등... 사물인터넷(IOT) 장비 이용해서 개발
=오픈플랫폼 개발
<1> 개발환경분석
- 논리회로 부분 : and or Not
true of false
<2> 부트로더(=초기적재 프로그램)
- 운영체제가 시동되기 전에 미리 실행되면서
커널이 올바르게 시동되기 위해 필요한
모든관련 작업을 마무리하고 최조적으로 운영체제를
시동시키기 위한 목적을 가진 프로그램
-> 기계 장비에 소프트웨어 설치하기 위한
프로그램
<3> -ICSP : 이대로 얘기하는 경우도 있다.
스케치->프로그램 쓴다.
일반 케이블이 아닌 전용프로그램들을 쓰기도 한다.
-> 다른 아두이노끼리 전선연결해서 이동하는게 가장 편하지만, 비싸다.
3. 논리적 이면서, 주변 상황의 영향을 주고 받는 시스템은
임베디드(하드웨어+소프트웨어) + 인터넷기능(정보통신)
=> 사물인터넷(IOT) + 인공지능 = 스마트 사물인터넷
(AIOT)
①. 로봇path
스마트 사물인터넷 + 액츄에이터(활동머신)
(정신) + (몸)
=> 인공지능로봇
(사람)
②.네트워크path
사물인터넷 + 우주 인터넷 => 만물 인터넷 => 행성간
-----> -----> 인터넷
확장 확장
** 2교시 **
1, 시리얼 모니터 : 화면 출력(아두이노 프로그램에 연결된 모니터꺼)
시리얼 플로터 : 지진 감지 장치중 진폭 표시하는 그 그림처럼 나옴
2. 가장 좋은 설명서는 제조사 HP의 메뉴얼(원본)
** 3교시 **
1. digital Write : 쓰기를 시작한다.
HIGH : 출력을 계속 올린다. -> 결국 소리가 난다.
initalize : 초기화
int Buzzer = 8 -> 부저의 변수는 8로 저장
2. PinMode - 아두이노의 출력은 출력 또는 입력으로
구성가능하며, 이러한 함수는 PinMode()
함수로 설정가능하다.
Output : 출력하다.
3. atmel studio
4. + 단자가 밑으로 오도록.
** 4교시 **
1. state=1 (참인가?)
2. 아두이노 C++
3. Serial = 객체. Println = 메소드
** 5교시 **
1. int Joystick_X=0, -> Joystick 아날로그에
y=1, 꼽은 번호를
z=3
2. Analog = 1,0 으로 나올 수 없는 것 (0,1 다른 것도 넣고 싶으면)
Digital = 1,0 만 (단순한 작업)
Println = 1줄 내려준다 <br> + Print
3. x,y,z
x : 위로 올리면 | y = 아래으로 돌리면
왼쪽 | 오른쪽
z : 클릭 여부 0,1 로 표현
0 : 안누름 / 1 : 누름
** 6교시 **
1. Soc : 시스템 온 칩
-> 라즈베리파이. CPU칩에 다양한 시스템을
올려놓을 수 있다.
MCU : 마이크로 컨트롤 유니트.
-> 아두이노. 임베디드 칩 셋. 특정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스. 혹은 마이컴
아두이노, 라즈베리파이, 가릴레오, 비글보드, 오리맥스
혹습 목표에 적합한 하드웨어 선정. 사이트에서 페이지 목록 작성
하드웨어의 회로도, 설계 문서, 주요 부품 리스트와
데이트 시트 작성
** 7교시 **
1. 커널 보안 - 물리적
- 네트워크
- DB ==> ISMS 인증평가 =(통과)> 호스팅 업체가 될 수 있음.
- 시스템
- 애플리케이션
2. 추상화 - 프로그래머가 여러 장비에서 작동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들을 도와준다.
- 커널은 운영체제의 복잡한 내부를 감추고 깔끔하고
일관성 있는 인터페이스를 하드웨어에 제공하기 위하여
3. 커널 - 1. 단일형 커널 임베디드
2. 마이크로 커널 환경구축 공부 단계
3. 혼합형 커널 ↓
4. 엑소 커널 오픈플랫폼 활용
4. 개발환경구축
① 운영체제 : OS ② 스케치 프로그램
- 하드웨어 추상화 플랫폼 = 아두이노 코드 작성
+
공통 시스템 서비스를 = 통합 개발 환경
제공 (EX) -> 대주제
공통시스템 = 폴더 = IDE
각 PC의 종류이다. 돌아가는 OS가 다르다.
슈퍼컴퓨터, 일반컴등
목적이 있는 컴퓨터
5. 운영체제의 종류
(1) 싱글테스킹 : 1개의 OS는 1대의 프로그램만 실행
(2) 멀티테스킹 : 1개의 OS에 여러 프로그램 실행
이는 운영체제의 작업 스케줄링 하부 시스템에
의해 제 각기 반복적으로 인터럽트 또한
시분할을 통해 이뤄짐
(3) 인터럽트 : 요청 메시지 혹은 신호
(4) 시분할 : 시간을 분할 해서 여러 사용자의
요청을 해결 (EX)ATM)
(5) 선점 / 비선점형 멀티테스킹
Total 6가지
응용소프트웨어 개발 - 서버, DB
임베디드 개발 - 아두이노
===01.14=====================================================================
** 1,2교시 **
1. 미, 파, 솔, 도, 레, 도, 도, 도, 도, 미, 도 , 미, 도, 파, 솔, 도, 도, 도, 솔, 도
2. win32 디스크 이미지는 플래시 메모리에
이미지 파일을 쓰게 해준다.
임베디드 리눅스 이미지를 플래시에 올려준다.
준비물1) 윈32 디스크 이미지 2) 라즈비안
| ↓
| Raspbian Buster
ㄴ _ _ with Desktop and
연결해야함 recommended
software 다운
** 3교시 **
1. USB 무선마우스 본체연결하는 것 같은 장치
(블루투스 마우스 무선연결장치) 는 우선, 라즈비안설치
위해 PC에서 먼저 USB드라이버로 만들어줘야한다.
2. 포션 서미터
브레드 보드
3. potentiometer -> 볼륨 크기 줄엿다가 늘리는 등의 조절키
4. Potpin ->
Ledpin ->
5. ledpin 은 항상 13번
빵판 13번에 회로(관련)이 들어있어서
val=0 / C 나 C++ 은 변수선언하고 초기값 설정.
쓰레기값 안들어가게 안전하게
6. 아두이노 프로젝트
라즈베리파이 프로젝트
7. 포텐셔미터 나오는 값의 범위
0~1023
8. 포텐셔미터 = 버튼 돌려서 강약 조절하것
** 4,5교시 **
1. 설치해야하는 것 (설정해야하는 것)
sudo apt -get update
sudo apt -get upgrade
sudo apt -get install ibus -hangul
sudo apt -get install fonts -unfonts -core
sudo apt -get install ibus -gtk ibus -gtk3
2. mysql 설치 안되면 maria -server -10.0
으로 설치하면 된다.
3. sudo apt -get install git -core
4. 네트워크가 접근 불가능합니다. 오류
** 6교시 **
1. 아두이노 옴 색상
2. 저항 -옴
3. 배선
4. 전자기항
** 7교시 **
1. 터미널 나오는 거 x->y->enter 누르면
터미널 화면으로 나옴.
===01.15=====================================================================
** 1교시 **
단순제어 더 복잡한것
| |
1. 오픈하드웨어 = 아두이노, 라즈베리파이 = 오픈플랫폼 하드웨어
2. 타겟보드 = 우리가 실습에 사용한 kit들
3. 아두이노 - 윈도우, 리눅스 둘 다 OK - | 둘 다 상업용 있음
라즈베리파이 - only 리눅스 -| 둘 다 상업용 있음
4. 순서 - ① 개발목적을 정함
② 타겟보드를 개발할 운영체제 선택
③ 타겟보드에 적합한 개발환경을 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