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노트정리

1월 2주차

===01.06=====================================================================

 

** 1교시 ** 

1. php 는 띄어쓰기 하면 안된다. 주의. 띄어쓰기 하면 구문인식이 안됨.

2. C랑 PHP 랑 문법이 거의 똑같네 

 

** 2교시 **

1. DoWhile php 에선 $(영어)=(시작하는 숫자)로 지정을 처음에 해주고, 문을 적어야한다. 

   ex)

<?php
	$i=0;
    do {
    	print $i ++;
        print "<br>";
    	}
    while ($i<=0)
?>

2. dir=Directory 의 줄임말. 자주 헤깔리는 거니까 주의 

3. 10진수 표기 

4. 처음 --(정공학)-> 결과 

   처음 <-(역공학)-- 결과 

5. print .$i 안붙이면 오류가 나니까 주의 

6. 코드 이그나이트 

 

** 3교시 **

1. array 

2. form 역할 한 것? 중간에 이것저것 

3. 인덱스 넘버 "0"에 해당하는 것이 진행됨 

4. html 활용까지 해서 붙일땐 조금 곤란할 수 있다. 

   select 따로 묶어두는 등으로 해서 하는 것이 편함. 

5. 파이썬 -> 데이터 분석으로 사용하는 것이 유명함. 

6. A.B : .은 이미 A앞에 지정된 변수와 B를 이어주는 것이 역할.

         안쓰면 앞의 것은 지우고, 뒤의 것으로 새로 저장하는 것이 됨. 

7. foreach(A as B) = print B; print A; (구문오류 나와서 실행이 안된다)

   for -> 배열,조건문 / foreach -> 이름 변경 

8. 파이썬은 구현이 중요하다. 무엇을 구현하는지! 

 

** 4교시 **

1. $value, $key 둘다 같은 값(이름 변경하는 것)을 사용한다 

2. 비교문 사용시 if를 쓰기도 한다. 

   for 문과 비슷한 면도 있긴 하지만, if는 뒤에 자료가 잇어도 조건이 완성(수료)되면 바로 나오게 된다 

이 느낌으로 생각하기 

 

** 5교시 **

1. require ("파일이름, 확장자")  = A : A를 불러와서 사용한다. 

2. HTML->정적언어 : 내가 입력하는대로 바뀐다.  

   PHP -> 동적언어 : 구동할 때마다 데이터 입력이 변경됨. 

                            ㄴ 해당파일이 아닌 다른 파일에서 변경된 내용들

                            ㄴ 본 PHP 파일의 문장은 변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가능.

 

** 6교시 **

1. argument = 인수 = parameter -> 둘이 혼용해서 자주 쓴다. 

2. arg : java 메인 메소드 문구에서도 언급되는 부분 

   string[] arg : 배열로 들어온다. = 인수가 아닌걸로 들어올 수 있다는 것. 

 

** 7교시 ** 

1. flag : - 컴퓨터에서 사용된 무언가를 기억하거나, 다른 프로그램에게 약속된 신호를 남기기 위한 용도 

          - 프로그램에 사용되는 미리 정의된 비트. 

2. 자료형은 내가 짜는 것보단 이미 다른 사람이 짜 놓은 것이 많다. 

3. array(A,B,C) : A,B,C를 한번에 묶어서 처리한다. 

4. 전역변수 : - 어디에서나 사용가능. 

                 - 전역변수로 선언하면 main or functionTest 등.. 변수 사용이 가능. 

   지역변수 : 중괄호로 지정된 한 지역내에서만 사용가능. 

5. global $ data; -> 전역변수 참조 

   $data += 1; -> 전역변수에 1만 더해서 사용하겠다. 

6. global -> 지역변수 설정하는 키워드 

7. GLOBALS 는 무조건 대문자로. 소문자로 쓰면 에러난다. 

8. 개체 프로세스 

9. 작업중, ETC 등.. 멈추거나 하면 개체 프로세스의 문제 혹은 하드웨어의 문제 일 수 있다. 

10. 가상서버로 개발환경을 같게한다. 

 

===01.07=====================================================================

 

** 1교시 ** 

1. mb_ = MultiByte 의 줄임말 

          =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함수 

          = 글자수를 셈과 동시에 Byte 로 변환함. 

2. substr = 문자열의 각각 자른다. 

   ex) substr($string,3,5); 

        = 5개를 자른다.

           앞이 3글자것뒤부터(3번째 인덱스 부터) = 4번째 것부터 

3. trim 은 엑셀에서 사용하는 trim이랑 쓰임이 같다. 

   앞뒤 잘라주는 그 기능!

 

** 2교시 ** 

1. implode -> 기준검을 기준으로 합친다. 

   <-> (반대임)

   explode -> 나눈다. 

2. list(나열);

3. sort : 오름차순으로 정렬. / r(리버스)sort : 내림차순으로 정렬 

4. pre = HTML 입력한 형태 그대로 보여준다. 

5. print_r : 변수에 대해 사람이 알 수 있는 정보로 출력.

              [0] => 5 이런식으로 나온다. 

 

** 3교시 **

1. asort -> 오름차순 정렬, r(리버스)sort -> 내림차순 정렬 

   => value 값 정렬 

2. ksort -> 오름차순 정렬, krsort -> 내림차순 정렬 

   => key 값 정렬 

  내용 알아두기. 

3. array_push(미리 지정한 변수, 추가할 내용들...)

   origin $data = "1","2","3" ... 

   push aft $data = "1","2","3","추가한 내용들.." 

   로 바뀐다. 

4. $kaki = array_pop($data)

5. array_unshift : 배열 앞에 데이터를 추가한다. 

6. merge 기존값에서 merge 안에 넣은 값으로 대체한다. 

 

** 4교시 ** 

1. array_reverse : value 값을 거꾸로 바꾼다. 

                      key값은 그대로. 

 

** 5교시 ** 

1. file_put_content

   -> $filename="test2.txt" -> 새로/기존 파일 이름. content 내용 넣을 이름 

       $contents="123456..." -> 넣을 내용 

       file_put_contents($filename, $content) 

                                 ↓            ↓

                              파일생성      내용  

                                  or

                      파일에 내용 입력

   -> localhost 에서만 되고, 크롬으로 일반적으로 가져오는 건 코드만 보이고, 실행은 안된다. 

2. file_put_content -> 생성

   unlink -            -> 삭제 

3. is_file -> 파일이 있는지 없는지 유무를 확인하는 것. 

4. !is_dir($dirname) && mkdir($dirname)

   -> 없으면 만든다(참), 있다면 안 만들고 else 만들 수 없음이 뜬다. 

 

** 6교시 **

1. 요청헤더 : 브라우저에서 서버로 특정명령의 실행을 요청(request) 하면 웹서버는 요청을 받고, 

                 해당 요청에 대한 응답(Response)를 브라우저에 보내준다. 

2. Content-Disposition

   : 응답 본문을 브라우저가 어떻게 표시해야할지 알려주는 헤더. 

   뒤에 attachment 오면 다운로드 시작. 첨부파일로 받을거다. 

3. Octet-Stream

   : 스트림 형식의 파일 다운로드를 구현시 헤더에 정보를 기록하는 것. 

4. 미디어쿼리 개념 잘 알아두기

5. location -> 링크 타고 이동하는 것 

6. row -원본 파일 

7. header -send a raw HTTP header 

   HTTP 원본파일의 header를 보낸다. 

 

** 7교시 **

1. "/[0-9]+/" : 이 사이의 숫자가 들어가기만 해도 '숫자입니다' 라고 뜬다. 

       ↑

     표시될 숫자 영역

 

** AFTER ** 

1. ENT_QUOTE : ''(홀따음표) & ""(겹따옴표) 

                      둘 다 반환함

 

===01.08=====================================================================

 

** 1교시 **

1. Http-equiv 

   : 문서의 초기정보를 나타낸다. 

2. Content-Type

  : 문자인코딩과 함께 MINE TYPE(미디어 타입을 정의함)를 정의함

   2-1.

   Content-Type : 문자 인코딩을 하고, Type은 변도 지정x 할거면, 뒤에 지정요망 

3.

<form ... action = view.php>
	이름 : <br>
</form>

view.php 파일로 이동해서 송신된 내용이 뜬다. 

                                  전송된 

4. 세션 쿠키 (연결방식) -> mysql(DB)로 이동.

   = 입력된 것을 바로받기 위해, 빨리 하기 위해서 

5. php가 웹적으로도 활용되고 싶으면 그 안에 <html>을 넣어라. 

6. 요새 기본 보안은 개발당시에 꼭 들어가는 것 같다. 

 

** 2교시 **

1. $_POST : URL에 아무 흔적이 남지 않고, 소스코드에만 남는다. 

 

** 3교시 **

1. php -> html 

 

** 4교시 **

1. isset(___) : A가 true 라면...

          A

2. value="____"

          저장의 의미

 

===01.09=====================================================================

 

** 1교시 **

1. 웹 개발 게시판등... 

   집중해서 생각 

 

** 2교시 내용 없음 **

 

** 3교시 **

1. select 문(x) 탭(o)

 

** 4교시 **

1. foreach($_POST["hoddy"] as $hobby)

   배열의 키와 값을 분리해 낼때 사용하는 함수 

2. setcookie - 원하는 쿠키설정 시간이나

                   업데이트등 설치시 사용가능한 코드 

3. 설정해둔 초가 지나면 -> 다른 사용자로 인식하는 것 

 

** 5교시 **

1. 쿠키 : 클라이언트에 정보파일 남김 -> ID,IP 등 중요정보가 저장되어 있음 

   세션 : 서버에             =             

   ○ 쿠키 : 비용 저렴 -> 전반적인것만 알고가도 좋음 

       세션 : 비용 고가. 직접 컨트롤

2. DB작업시 세션을 사용한다. 

   잘 알아둬야한다.

3. setcookie(키, 값, 쿠키의 유효기간)

   cookie 안에 저절로 초 지나면 이전 것 

     지워버리는 기능이 있음. 

4. 세션 php 로 mysql 문법을 가져올 때 사용한다. 

 

** 6교시 **

 

<세션 함수>

1. sesstion_start(); -> 세션 코드 작성시, 이게 없으면 세션 자체가 안된다.

: 세션 스타트를 시키는 함수

 

2. session_unregister("키")

: 세션에서 등록된 키를 삭제함.  

 

3. session_unsset(); -> 통째로 삭제

: 세션 변수를 전부 삭제한다.

 

4. session_cache_expire(60) - 60분 단위 

: 유효기간 설정  

 

5. session_destroy();

: 세션을 삭제 

6. 

7. 세션ID를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 발행 

   클라이언트는 브라우저(URL) 세션ID를 서버로 송신 

   서버가 클라이언트의 데이터를 참조하게 됨 

   세션ID는      클라이언트 컴퓨터마다 다르게 설정됨

   (IP주소와 

    비슷한 개념)

8. 대부분의 클라-서버 의 구조는 다들 비슷하다. 

 

** 7교시 **

1. 기존에는 POST 글로벌 변수로만 사용했는데,

   POST 글로벌 변수를 세션 글로벌 변수로 전달과정이 나온다. 

2. nl2br 

3. 프로스텍 개발자(프론트, 엔드 둘다 = fullstack 개발자)

   제이쿼리랑 연동작업 = 

   백엔드는 php 개발 인것. 

 

===01.10=====================================================================

 

** 1교시 **

1. 파일 업로드 (시험관련임)

2. enctype : 파일 업로드에 쓰이는 타입 

   form_data : 이미지 파일 넣을 때 

3. submit : 전송시 쓰는 데이터 타입 

 

** 2교시 **

1. getimagesize 함수의 배열에 담긴 정보 

   [0] : width 값 

   [1] : height 값 

   [2] : imagetypeflag . 타입을 정수로 변환 

        * 정수 변환 값이 1이면 GIF, 3:SWF 5:BMP

                              2   면 JPG, 4:PSD 6:TIPF

   [3] : width, height 값 

 

** 3교시 **

1. input 태그 - file 옵션의 name 설정이 uploadfile 일 때 

   $FILES ["uploadfile"]["name"] : 업로드된 파일의 이름 

   $FILES ["uploadfile"]["size"] : 파일의 크기 

   $FILES ["uploadfile"]["tmp.name"] : 서버에 저장된 임시 파일명 

 

** 4교시 **

1. 파일을 다운받아 실행하는 것. 

   localhost/wp-admin/install.php 

   하는 거랑 다른 거니 알아두기. 

2. 오픈소스코드(PHP)

   유지보수가 기대하기 어렵다

     = 소스코드 오류등 스스로 해결해야

        하기 때문에 

3. 소스트리 = 파일 폴더와 파일들이 나무가지처럼 

                    dir 

                   연결 된 것 

   프로세스, 요소, 구성과정 등... 코드작성은 기본으로 깔아야함

4. 테스트 스크립트 

리소스

 

** 5교시 ** 

< 어플리케이션 개발(배포)과정 > 

'노트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1월 3주차  (0) 2020.0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