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객체 생성하는 순서
1. 데이터 베이스 오브젝트 생성 계획 수립
2. 데이터 베이스 오브젝트 생성
3. 데이터 베이스 오브젝트 생성 완료 보고서 작성
* 데이터 베이스 오브젝트 생성 계획 수립
- 일반 테이블
- 인덱스 : 어떤 종류의 검색 연산을 최적화 하기 위해 데이터 베이스 상에 rows의 정보를 구성하는 데이터 구조
이용하면 전체 데이터를 검색하지 않고 데이터 베이스에서 원하는 정보를 빠르게 검색 할 수 있다.
DBMS 종류에 따라 인덱스가 데이터 파일에 함께 저장될 수도 있고, 별도의 인덱스 파일에 저장되기도 한다.
- 파티션 테이블 : 대용량의 테이블을 파티션이라는 보다 작은 단위로 나눔으로써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관리를 보다 수월하게 함
총 3가지 종류. [범위 분할, 해시 분할, 결합 분할]
- 뷰 : 데이터의 보안을 유지
* 데이터 베이스 오브젝트 생성
- DDL(데이터 정의어) : Data Definition Language 의 줄임말
테이블과 같은 데이터 구조를 정의하는데 사용되는 명령어
데이터 구조와 관련된 명령어들을 말함
create, alter, drop 등의 명령어 뒤에 테이블, 인덱스, 뷰 등을 붙여서 테이블 생성에 쓰임
- 테이블 생성
- 인덱스
- 뷰
* 데이터 베이스 오브젝트 생성 완료 보고서
- 메타 데이터 : Data And Data
DB의 용량, 권한 등을 담고 있다.
- col privs : 컬럼 별로 사용자에게 부여된 모든 권한을 갖고 있다.
- 데이터 딕셔너리 : 데이터 베이스의 구조 정보, 즉 메타 데이터를 담고 있다.
- 주요 데이터 딕셔너리 : Data dictionary 에서 검색 조건 부여 시
테이블 명, 컬럼명은 반 드시 대문자로 지정해야 한다.
테이블의 특정 컬럼이나 데이터를 조회를 하는게 주된 목적
* VLDB : Very Large Data Base
초대형 데이터 베이스
큰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DBMS
'서버 기초 > mysql' 카테고리의 다른 글
DBMS 주요용어 4. DBMS와 HDD (0) | 2020.01.29 |
---|---|
DBMS 주요용어 3. 스왑 (0) | 2020.01.29 |
DBMS 주요용어 2. 데이터베이스 (0) | 2020.01.29 |
DBMS 주요용어 1. DBMS (0) | 2020.01.29 |
터미널로 테이블,유저생성, 권한 부여 (0) | 2020.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