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파이썬 기초/파이썬

시퀀스 sequence - 2 (len,index,del)

len(시퀀스객체) = 시퀀스객체에 들어있는 개수(길이)를 구할 때 사용 

 

딱히 적을 정도로 헤깔리거나 어려운게 아니어서 적지 않음! 

 


index 

 

시퀀스 객체의 각 요소는 순서가 정해져 있으며, 이 순서를 인덱스라고 부른다. 

시퀀스객체에 [](대괄호)를 붙이고 []안에 각 요소의 인덱스를 지정하면 해당 요소에 접근할 수 있다. 

>>> a = [38, 21, 53, 62, 79]
>>> a[0]
38
>>> a[1]
21
>>> a[2]
53
>>> 

인덱스는 0번부터 시작해서 38이 할당받은 인덱스는 1이 아니라 0이다. 

그럼 a=[38... ] 이라고 정한 엘레멘트 부분을 지정할 때도 꼭 대괄호를 써야하는가? 

>>> b=(38,21,53,62,79)
>>> b[0]
38
>>> b[1]
21
>>> b[2]
53

그건 아니다. 

대괄호를 써야하는건 인덱스를 호출할 때 만이지, 엘레멘트(요소) 는 일반괄호를 적어도 괜찮다. 

인덱스 일반 괄호

인덱스 쪽은 무조건 대괄호이다. 

일반괄호를 쓰면 사진처럼 오류가 난다. 

 


인덱스를 음수로 정해서 엘레멘트 구하기 

 

인덱스를 음수로 지정한다 라는 건 1,2,3,4,5 였던 순서를 5,4,3,2,1 로 해서 구한다고 보면 된다. 

- 는 거꾸로 라는 표시! 

>>> b=(38,21,53,62,79)
>>> b[1]
21
>>> b[-1]
79

인덱스로 시퀀스객체에 값 할당하기 

 

지금까지는 시퀀스객체(엘레멘트)에서 먼저 숫자를 지정하고, 인덱스에서 번호로 불러오는 순이었는데 거꾸로 해본다. 

>>> c=[0, 0, 0, 0, 0]
>>> c[0]
0
>>> c[0]=38
>>> c[0]
38
>>> print(c)
[38, 0, 0, 0, 0]
>>> c[-5]
38

처음 c는 모두 값이 0 이어서 c[0] 을 해도 값이 0으로 나왔는데, c[0]=38 을 하고 실행을 하니 38로 값이 나왔다. 

print(c)를 해서 적용된 값을 확인해보니, 앞 숫자가 38로 바뀐 것이 학인 가능했다. 

위에서 - 를 붙여서 해본 것처럼 해봤더니, 그것도 잘 출력이 되었다. 


del 

 

del = del(ite) 의 줄임말이다. 

말 그대로 할당된 값들을 삭제한다. 

위에서 했던 c를 삭제해본다. 

 

c를 삭제후, print

c를 삭제하고, print 를 했더니 오류가 나왔다. 

c가 이미 삭제된 것이어서 print를 해도 값이 없어서 오류값이 뜬 것이다. 

 

'파이썬 기초 > 파이썬' 카테고리의 다른 글

while  (0) 2020.02.02
for  (0) 2020.02.02
시퀀스 sequence - 1 (in, not in)  (0) 2020.01.27
range,list  (0) 2020.01.27
boolean, 비교연산자  (0) 2020.01.24